부산 상하수도 수질개선 근본적 개선대책 수립하라
부산 상하수도 수질개선 근본적 개선대책 수립하라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18.06.12 0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의 물은 전국에서 상하수도 요금이 최고로 비싸면서 수질은 최악인 상황에 왔다. 비싼 상수도 요금을 내고도 나쁜 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 어패류와 해수욕을 하는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부산대 오정은 교수팀에 의하면 부산의 수질은 발암물질인 과불화화합물 검출량이 5년 전보다 급증하였다고 발표했다. 낙동강 인근에 물금 신도시 등 인구가 늘어나고 농업폐 수, 공단폐수가 증가하면서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낙동강으로 방류한 결과이다. 오정은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과불화화합물과 함께 주요 의약물질의 분석도 진행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46종 중 20종이 낙동강 원수에서 나왔고, 검출된 6종이 정수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은 채 정수에서도 검출됐다.

2012년 30ng/L 안팎이었던 해운대구는 지난해 130ng/L까지 4배 넘게 치솟았다. 같은 기간 금정구와 연제구도 30ng/L대에서 120ng/L대로 3~4배, 동구와 부산진구도 30ng/L 대에서 110ng/L대로 급증했다. 낙동강 표류수가 아닌 회동수원지를 상수원으로 쓰는 동래구만 15ng/L 안팎을 유지했다. 환경부는 대구·경북 일대 낙동강 중상류 산단을 중심으로 과불화화합물(PFASs) 배출원 조사를 시작했다. 환경부는 특히 매곡·칠서정수장의 과불화합물 농도가 높게 나타난 점에 미뤄 낙동강 중상류 산업단지에서 과불화화합물을 다량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과불화합물은 발암물질로 과불화화합물은 표면 보호와 방수 효과가 뛰어나 프라이팬 등 조리 기구와 광택제, 등산복을 비롯한 각종 기능성 의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가 과불화화합물 대표물질 3종(PFOS, PFOA, PFHxS)을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으로 지정하고 주기적으로 해당 물질 농도를 조사해 결과를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www.waternow.go.kr)에 공개하고, 2~3년간 정확한 증감 추세와 위해성을 분석한 뒤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먹는물 수질 기준을 설정한다는 계획을 수립한 것은 늦었지만 잘 한 일이다.

선진국 도시는 안전한 물공급을 해 주는 상하수도설치 100프로가 주요지표로 인간 정주기준을 평가한다. 우리나라도 표층수를 식수원으로 하지 않고 상류 식수전용댐을 설치해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대도시 하천오염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을 바다로 흘려 보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하수처리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녹조 원인인 농어촌 하수처리율을 100% 달성하여 강이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정수기 수질검사 못 믿어

국내 정수기 회사들의 수질관리는 믿을 수 없다. 객관적인 제 3의 수질검사기관이나 정부기관이 아닌 자체 출연 연구기관에서 수질검사를 하기 때문이다. 부산시민들의 수돗물 불신은 매우 높아 정수기 보급율도 매우 높다.  정부가 가정 정수기 물도 관리감독을 해야 할 정도로 정수기가 대부분 가정에 공급되고 있지만 이것은 물관리 사각지대다. 과불화합물은 정수기 수질검사에서 제외되어 있다. 국내 시판 정수기와 정수장이 과불화합물 정수 기능이 있는지 조사해서 시민들의 건강불안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시설개선과 시판금지를 해야 할 때이다. 아울러 수돗물 대안으로 국비와 시비 총사업비 1954억이 들어간 기장 해수물 담수화시설이 폐기되어 부산시의 수돗물 다변화 정책은 실패로 끝났다. 다변화는 폐기하고 식수전용댐 수돗물공급으로 올인해야 한다. 더이상 물공급 다변화전략에 의해 낙동강유역 주민들이 환경부나 해수부 물수출산업 실험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