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방류수의 진실과 대응 방안
후쿠시마 방류수의 진실과 대응 방안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3.06.24 13:1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가 과학을 이겨서는 안돼!

 

올해 7월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에 앞서 "안전하다", "위험하다"란 이분법적인 주장으로 대한민국 전체가 판단의 혼돈 상태에 빠져 있어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에 대한 진실규명과 합리적 대응 방안이 요구되게 이르렀다.

혼돈의 원인을 살펴보면, 2011년 4월 수소 가스 폭발 사고로 원자로가 일부 녹아내렸다. 이로 인한 방사능 오염수를 내보내기 전 해양 방류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알프스 처리시설을 여러 번 거쳐 방사능 핵종을 제거한다.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알프스 시스템을 거쳐 처리한 것을 처리수라 부른다. 방류 전 처리수를 탱크에 넣어 보관한 다음 바닷물로 희석해 내보내는 것이 방류수다. 방류수에 알프스 처리로 기준치 이하로 거르는데 전혀 걸러지지 않는 것은  삼중수소뿐이다.   3g 이하인 삼중수소는 일본정부가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 1년이 아닌 30년에 걸쳐 조금씩 방류할 계획이다. 후쿠시마 사고 원전 방류수는 1km의 심해 터널을 만들어 후쿠시마 사고 해역에서 떨어진 곳에서 방류되므로 오염이 아직도 진행 중인 후쿠시마 내해와 멀리 떨어져 있어 방류수의 2차 오염도 방지한다. 방류 방향도 우리나라 쪽 해역이 아닌 태평양 쪽 해역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점을 고려해 볼 때 7월에 추진될 후쿠시마 방류수로 인한 우리 수산물 피해는 발생할 가능성이 없고, 우리 수산물은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원전 안전 전문가들은 확신하고 있다.

그런데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의 방류수(이하 방류수) 중 처리되지 않은 삼중수소의 안전성에 대해 과학과 정치가 정면 배치되는, 정치 선진국에서는 극히 보기 드문 일이 우리나라에서는 벌어지고 있다. 정치는 과학을 따르고 존중해야 한다. 국민들은 다소 어려운 용어로 설명하는 과학보다는 단순한 구호나 슬로건으로 집약 표현하는 정치인의 수사를 따르기 쉬우므로 정치인은 국리민복을 생각해 정치적 행위를 매우 신중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부 정치인 가운데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류수의 안전성을 호도해 정부를 곤경에 처하게 만드는 등 정치적 기회로 악용하려 하는 자가 없다고 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안전한 바닷물이라도 해수담수화 처리시설을 거쳐야 마실 수 있는데, 방류수의 안전성 입증 기준을 단순하게 안전하다면 "마실 수 있느냐", "마시겠느냐"로 안전성을 입증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바닷물이 안전하다 하더라도 인간은 바닷물을 처리내지 정화하지 않고는 바로 마시지 않으므로 방류수를 “마실 수 있다“,“마실 수 없다“라는 설전은 안전성 논쟁에서 무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특이한 방류수 괴담은 국내 소금값을 폭등시켰다.  후쿠시마 원전 알프스 시스템에서 제거되지 않은 삼중수소는 증발해 사라지므로 우리나라 소금은 방류와 무관하게 안전하다. 따라서 소금 사재기는 후쿠시마 원전 국내 영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에 기인하므로 소금을 바닷물 방사능 오염 때문에 미리 살 필요는 없을 것이다.

후쿠시마 심해 방류수가 우리나라 바다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는 과학적 수치로 증명하는 수밖에 없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2011년 4월에 쓰나미로 발생했다. 후쿠시마 사고 후 정부는 오염이 가장 심각했던 2011년 우리나라 해역의 방사능 농도변화를 추적해 12년 후 처리수를 방류기준에 맞게 희석한 방류수의 안전성을 예측했다.  원전 사고 직후 나온 박지영 박사의 논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우리나라 수산물에 미친 방사능 수치의 영향이 미미함을 입증하는 것으로 우리 정부의 예측을 뒷받침한다.

"오염수 방출로 인한 수산물 오염의 경우 국내에서는 사고 직후인 2011년  5월 연안 해양시료 분석결과 정상 수치가 공지되었고, 2011년 7월 수입 냉장대구에서 kg 당 97.9Bq/kg이 검출된 바 있으나 국내산 수산물의 오염이 보고된 적은 없다. 일본의 경우 2011년 9월 우럭에서 kg당 670Bq 검출이 보고되었으나 이는 어로활동이 금지되어 있는 곳에서 조사목적으로 채취한 시료 분석결과였다. 일본 및 국내에 적용되는 일본산 식품에 대한 기준치는 100Bq/kg이며 오염된 냉장대구와 같은 정도의 식품 기준치인 100Bq/kg의 식품을 10kg 섭취하더라도 방사능에 의한 피폭량은 0.013mSv로 이에 따른 영향은 미국 왕복 비행 시 피폭량의 1/7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2011년 3월 14일부터 올해(2013년) 7월 5일까지 수입 일본산 수산물 1만 2,588건을 검사한 결과 130건에서 방사능이 검출됐지만 이들 모두 기준치 이내였으며 부적합 판정은 없었다(박지영 외교안보센터연구원,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 핵공학 박사)."

방사선량 비교

출처: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2013 NOV 13)

'후쿠시마 방사능과 원자력의 미래' (박지영)

그러나 대다수의 원전안전을 연구한 학자들이 후쿠시마 해양 방류 후 우리나라 해양의 안전성을 주장하였지만 이에 대해 의혹을 가진 학자도 있으므로 연구 자료를 통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후쿠시마 심해 방류수가 플루토늄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해양 방류 대신 공기 중 처리수 증발 해법을 제시한 서균렬 교수의 주장에 대해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은 바다로 배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안이라고 반박하였다. 해양 방류 대신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가 주장한 공기 중 수증기 배출은 일본 정부도 마지막까지 고민한 방안이다. 그러나 해양 방류 시 방사능 핵종들이 삼중수소를 제외하면 방류기준을 만족시켜 희석해 해양 방류를 하게 되면 삼중수소 영향도 미미하다. 그러나 공기 중 수증기 배출은  오히려 후쿠시마 주민 방사능 피폭이 더 커지기 때문에 결국 일본 정부도 포기하였다. 공기중 수증기  방출은 우리나라에도 방사능 영향이 더 크므로 해양 방류보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반대가 더 심할 것으로 보인다.

 

 

언더스탠딩 유튜브 대담 방송에서 강조한 백원필 회장의 주요 메시지를 인용해 보면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의 안전성에 대해 좀 더 이해하기 쉽다.

과도한 방사능 공포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로서

자연 상태에서 (식품과 우리 몸 등) 나오는 방사능

바나나 115, 성인 1(70kg) 4,500 베크렐

사람이 많이 모인 강연장에서도 방사능이 다량 배출되므로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방사능을 접하고 있어

기준치 이하이면 특별히 공포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삼중수소 농도 일본 방류 기준 60,000 베크렐(우리나라 40,000 베크렐)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는 알프스 처리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1,500 베크렐(1/40로 낮춤) 상태로 방류.

세계보건기구(WHO) 방사능 음용수 기준 농도는 10,000 베크렐이므로 과학자들이

마실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의 방류 전 측정한 방사능 종류 및 방사능량

일본이 자국 피해주민에게는 관심이 크나 방류 영향이 거의 없다고

생각한 탓인지 우리나라에는 관심이 없다

2011년 사고직후 조사된 방사능량 변화는 해류의 흐름으로 인해 

우리나라 해역보다 캐나다, 미국 해역에 영향이 더 컸다. 

30년간 방류될 삼중수소 총량은 2.2g,

방류시 물에 섞여 나오므로 삼중수소수로 환산하면 15g,  

넓은 태평양을 거쳐 우리나라로 올 때 해양 영향은 거의 없거나 극히 미미한 수준

전체 알프스 처리수 탱크 저장 총량은 137만톤,

그중 방류수 배출기준( 알프스 필터로 제거되지 않는 삼중수소 제외)을 만족시킨 방사능량은 34%,

나머지 66%는 알프스로 방류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몇 번이고 재처리한다

오염수 처리과정은 알프스 시스템을 거쳐 방류기준에 맞으면 탱크에 저장된다

탱크 저장 후 방류과정은 바닷물로 희석해 방류기준보다 실제는 더 낮음,

탱크 보관지점에서 1km 해저터널을 만들어 사고해역과 거리를 두고 방류해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의 해양 방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원전 주변의 지하수가 들어와 오염수 발생량이 꾸준히 늘고,

오염수의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수 수위가 더 높도록 유지하기

위해 알프스 처리시스템을 거쳐 탱크에 저장한다.

오염수량은 꾸준히 증가해 처리수 저장탱크 수가 1,000개를 넘었고

방류하지 않으면 더 이상 탱크 저장 공간이 없다.

 

후쿠시마 사고 원전 내부 시설

수소가스 폭발 후 원자로 콘크리트에 금이 간 정도, 방사능 피폭 사망자 없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사고 직후 24명 사망) 처럼 완전 폭파가 아니다

알프스 1, 2차 등 다중 처리 시스템을 거쳐 처리한 처리수가

터널로 방류되기 전 해수 유입 희석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다핵종 제거 알프스 처리 시스템으로 제거되는 수십 종의 방사능 핵종들(세슘,스트로튬 포함)

 

 

우리나라 원전 학계의 원로이신 서울대 박상덕 명예교수는 2023년 7월 방류 계획인 방류수와 달리 알프스 시스템 등이 갖추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혀 처리하지 않고 무방비 상태로 오염수를 내보냈던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직후 우리나라 해역의 세슘, 삼중수소, 스트로튬 방사능 농도 변화 조사 결과를 제시해 후쿠시마 방류수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후의 우리나라 해역 방사능 농도는 자연 방사능 상태 수준이었던 반면, 오히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 우리나라 해역의 세슘, 삼중수소, 스트로튬 농도가 더 높았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구소련이 핵실험 후 폐연료를 우리나라 동해안에 버렸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볼 때 일본 태평양 쪽 원전 사고는 우리나라 해역과 무관하다. 오히려 중국이 우리 해역과 맞닿아 있으므로 중국의 원전 사고 및 원전 방류수, 북한 및 러시아의 핵실험 폐기물의 동해상 투기가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해양 오염이 가장 심각했던 후쿠시마 사고후 우리나라 해역의 방사능 농도변화는 거의 없었다. 사고시 70~80%의 방사성 물질이 태평양 쪽으로 방출되었다. 한국 해역으로도 당연히 확산되었으나 그 영향은 미미했다. 해류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확산되는 양은 방출량에 대체로 비례한다. 오염수의 방사능은 사고시 누출량의 수천~수만 분의 1이다"(박상덕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원자력정책센터)

후쿠시마 원전 사고년도인 2011년 기준,

우리나라 지도상의 측정지점에서 조사한 세슘, 삼중수소, 스트로튬 변화

2011년 이전이 더 높은 이유는 러시아의 핵실험후 핵폐기물 동해안 투기로 보았다

(박상덕 명예교수)  

최근 북한도 풍계리 핵실험장 부근 길주 주민들이 방사선 피폭과 방사능 지하수 오염으로 각종 질환을 앓고 있고 폭발 시 지하수가 하천과 바다로 흘러간 방사능 핵종들이 우리나라 해양을 심각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정부 대응 방안

정부는 방류수에 대한 괴담과 일부 핵공학 전문가의 플루토늄 유입 등 사고 현장에 입각하지 않은 비과학적 주장을 배제하고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정확한 정보 공유를 통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우리 수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향후 정부 대응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첫째, 후쿠시마산 농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한다. 둘째, 우리나라 해역의 해양오염 측정 지점을 더 늘려 방사능 등 오염물질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셋째, 학부모들의 우려가 큰 학교 급식 식자재 등 수입 수산물 유통 과정 전 라인을 엄격히 검사해 국민 불안을 해소한다. 넷째, 일본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가 IAEA에 약속한대로 방류수 기준을 잘 지키는지 끝까지 모니터링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시 방류 중단을 요구한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후쿠시마 해역 내 평형수 교체로 인한 우리나라 해역 오염 우려는 우리나라 전체 선박들이 해역 간 바닷물이 전혀 섞이지 않도록 한 IMO 평형수 교체 기준을 따르고 있고, 후쿠시마 사고 이후 평형수 교체로 인한 해양 오염은 없었다는 점에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정치가 과학을 이겨서는 안 돼!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 계획에 따른 합리적 대응책을 마련하고 후쿠시마 방류수 검증을 30년간 최종 방류까지 모니터링을 철저히 하고 국민에게는 정직한 정보를 제공해 신뢰를 얻어야 한다. 지금까지 원전 전문가들의 결론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역도 안전하고 우리 수산물도 안전하다. 정치가 과학을 이겨서는 안 된다. 수산업계 등 다수의 국민이 희생되는 상황에서 괴담과 비과학적 허위사실 유포는 유포자 스스로 학문적, 도의적, 정치적 책임과 아울러 민ㆍ형사상 법적 책임을 지며,  허위사실 유포죄 처벌과 피해자에게 손해배상이 따를 수 있다. 국민이 정부를 믿고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신뢰사회 구축을 위해 미디어는 진실을 방송하는 사회젹 책임을 다하는 것이 요구된다.  국민을 현혹하는 가짜 정보가 학문적 우월성ㆍ정치적 이익을 보장하지 않는 사회 정의가 하루빨리 대한민국에서도 정착된다면 반과학적 후쿠시마 처리수 괴담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첨부>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 관련 일일 브리핑(2023.6.23) -선박 평형수 교체 설명 등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환경신문 2023-06-24 12:14:58
[특별기고] '日 오염수 괴담 증폭시키는 서균렬 서울대 교수는 답하라'
pennmike.com
https://www.pennmike.com › news › articleView
서균렬교수의 주장에 대한 반박 질문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