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확정안(COP26 발표안)
탄소중립 확정안(COP26 발표안)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1.10.27 0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P 26에 발표할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10월 27일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심의·확정됐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른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안을 10월 18일 탄소중립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하였다.

정부는 11월 영국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안을 국제사회에 발표하고, 올해 내로 상향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유엔에 제출할 계획이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에너지, 산업, 수송, 순환경제 등 부문별 추진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요 법정계획 등도 탄소중립 시나리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수정·반영하게 된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전환·산업·건물·수송 등 주요 부문별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화력발전 전면 중단 등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A안,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탄소포집·이용·저장기술(CCUS) 등 온실가스 제거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B안으로 구성되었으며, A안·B안 모두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0’이다.

 

전환·산업·수송·건물 등 각 부문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환 부문은 A, B안 모두 석탄발전 중단과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을 대폭 상향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A안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등을 포함한 화력발전을 전면 중단하여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필요한 전력을 모두 생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산업 부문에서는 수소환원제철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공정 기술의 도입과 화석 연·원료를 재생 연·원료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았다. 건물 부문에서는 에너지절감(제로에너지) 건축물, 친환경새단장(그린리모델링) 등을 통해 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했다.

수송 부문은 대중교통 이용 확대를 통해 승용차 통행량의 감소와 함께 무공해차 보급률을 85% 또는 97% 이상으로 제시했다.

농축수산 부문은 저탄소 영농법 확대, 폐기물 부문은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확대와,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활용 등으로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한다. 

 탄소포집·이용·저장기술(CCUS)의 활용, 흡수원 확대 등으로 2050년 온실가스 순 배출량은 ‘0’으로 된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 

국무회의에서 2050년 탄소중립의 중간목표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하여,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40% 감축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기존 ‘17년 대비 ’30년까지 24.4% 감축(‘18년 대비 26.3% 감축)한다.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제조업 비중이 높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20년 기준, %): (한) 26.1, (일) 19.5, (유럽연합) 14, (미) 10.6이다. 

부문별 감축안

전환 부문은 석탄발전 비중을 2018년 대비 절반정도로 축소하고, 신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여 2018년 배출량 대비 2030년 배출량을 44.4% 감축한다..

석탄 발전비중(’18년 → ’30년) : 41.9% → 21.8%,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18년 → ’30년) : 6.2% → 30.2%

산업 부문은 전기로 등 철강산업 공정의 전환, 바이오 납사를 활용한 석유화학 원료 전환 등을 통해 2018년 대비 2030년 배출량을 14.5% 감축한다.

건물 부문은 에너지절감(제로에너지) 건축 활성화, 에너지 고효율 기기보급 등으로 2018년 대비 2030년 배출량을 32.8% 감축하고, 수송 부문도 무공해차를 450만대 이상 보급하여 2018년 대비 2030년 배출량을 37.8% 감축하게 된다.

농축수산 부문은 저탄소 영농법 및 저메탄 사료 공급의 확대, 폐기물 부문은 폐기물 감량·재활용 제고, 바이오 플라스틱 보급 등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각각 2018년 대비 2030년 배출량을 27.1%, 46.8% 감축하게 된다.

부문별 감축 외 흡수원 보전복원 등으로 2030년 온실가스 2,670만톤을 흡수하고, 탄소포집·이용·저장기술(CCUS)의 도입과 국외감축 사업 등도 추진한다. 부문별 감축방안, 흡수원 활용 등을 통해 2018년 7억 2,760만톤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감축하여 2030년 4억 3,660만톤으로 줄일 계획이다.

 

부문별 시나리오를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A안과 B안 구성하였다. 화력발전 전면 중단 등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A안, LNG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CCUS 등 제거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B안이 있다.

 

부문별 감축 방향

전환: A·B안 모두 석탄발전 중단(A안은 LNG 발전도 중단), 재생에너지 대폭 확대

산업: 철강 공정의 수소환원제철 도입, 시멘트·석유·화학·정유 과정에 투입되는 화석 연·원료를 재생 연·원료로 전환

건물: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제로에너지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냉·난방 및 급탕 시 저탄소·청정에너지(태양광, 지열, 수열 등) 보급

수송: 무공해차 보급 확대(A안 97% 이상, B안 85% 이상), 대중교통 및 개인 모빌리티 이용 확대

농축수산: 저탄소 영농법 확대(논물 관리방식 개선, 질소질 비료 저감), 가축분뇨 자원순환 확대 및 저탄소 가축관리시스템 구축

폐기물: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확대, 바이오 플라스틱 대체,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활용(메탄가스 회수 등)

수소: 수소 수요 27.4~27.9백만톤 예상, 국내 생산수소를 100% 그린 수소(A안), 일부 추출 수소 또는 부생 수소 공급(B안)

흡수원: 산림 생태복원, 도시숲 등 신규조림 확대, 연안 및 내륙습지 신규 조성 등 흡수원 확보(25.3백만톤 흡수)

CCUS: A안 55.1백만톤 처리, B안 84.6백만톤 처리(부문별 배출량 차이에 따라 CCUS 처리량 차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최종() 총괄표

* 시나리오 간 내용이 상이한 부문은 파란색으로 표시

 

NDC 목표) ’18년 대비 ‘30년까지 40% 감축(기존 ’18년 대비 26.3%)

* GDP 대비 제조업 비중(’20년 기준, %) : (韓) 26.1, (日) 19.5, (EU) 14.0, (美) 10.6

** 배출정점∼탄소중립 소요기간(년) : (韓) 32, (日) 37, (美) 43, (EU) 60

 

 부문별 주요 감축방안

전환: 석탄발전 축소(발전비중 (‘18년)41.9%→21.8%), 신재생에너지 확대((‘18년)6.2%→30.2%) 등을 통해 ‘18년 배출량 대비 ’30년 44.4% 감축

산업: 철강 공정 전환(전기로 등), 석유화학 원료 전환(바이오 납사 등), 시멘트 연·원료 전환(유연탄→폐합성수지) 등을 통해 14.5% 감축

건물: 제로에너지 건축 활성화, 에너지 고효울 기기 보급, 스마트에너지 관리 등을 통해 32.8% 감축

수송: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자동차 주행거리 감축), 무공해차 보급 확대(450만대), 바이오 디젤 혼합률 상향(3%→8%) 등을 통해 37.8% 감축

농축수산: 논물 관리방식 개선, 비료사용 저감, 저메탄 사료 공급 확대, 가축분뇨 질소저감 등을 통해 27.1% 감축

폐기물: 폐기물 감량(‘30년 기준 대비 17%)·재활용 확대, 바이오 플라스틱 보급, 매립지 등 메탄가스 회수로 46.8% 감축

수소: 수전해 수소 기술개발·상용화 지원, 부생/해외수입 수소 공급 확대(공급비율 : 수전해 12.9%, 추출 39.7%, 부생/수입 47.4%)

흡수원: 산림 생태복원, 도시숲 등 신규조림 확대, 연안 및 내륙습지 신규 조성 등 흡수원 확보(26.7백만톤 흡수)

CCUS: 상용화 R&D, 다양한 제도적 지원 등을 통한 CCU 확대, 다부처 공동사업을 통한 대용량 저장소 확보 추진(10.3백만톤 흡수)

 

부문별 감축 목표

* 기준연도(‘18) 배출량은 총배출량, ’30년 배출량은 순배출량(총배출량 흡수제거량)

** 국내 추가감축 수단을 발굴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되, 목표 달성을 위해 보충적인 수단으로 국외 감축 활용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