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댐 수상태양광 확대, 전기료 인상과 수질과 경관 모두 부정적 영향 우려 높아
다목적댐 수상태양광 확대, 전기료 인상과 수질과 경관 모두 부정적 영향 우려 높아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3.05.10 0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3. 4.10. 09:16 최초 작성

업데이트 2023.5.10.08:20

 

환경 생태학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수상태양광이 국가 2030 탄소감축 목표달성과 탄소국경세 극복을 위한 경쟁력 확보 및 국내 연관 산업계 활성화를 통한 수출산업 진흥을 위해 확대되고 있어 원전에 비해 발전단가 높은 수상태양광의 대규모 설치로 한전의 전기료 인상이 예상될 수 있다. 수상태양광은 상용화 모델 개발 이후 3개 댐에서 49MW 운영 중이며, 최초 상용화부터(’12년~) 환경 안전성 검증과 환경모니터링은 지속되고 있다고 한다. 수상태양광 설치 전·후 환경분석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없다고 하였다(KEI 등)고 하나 식수댐이고 새똥 세척 등 수질 조사 결과가 공개된 적이 없어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2023년에도 6개소나 설치된다. 환경부는 2030년까지 대부분의 식수로 사용되는 식수댐인 다목적댐에 수상태양광 설치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문제는 물 선진국은 식수댐에 수상태양광 설치를 하지 않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22년 수상태양광 준공현황) 합천댐, 보령댐 등 49.6MW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직무대행 정경윤)는 수상태양광 기업의 수출 지원을 위해 국내 대표적인 수상태양광 현장인 경남 합천댐 일원에서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합천군, 수상태양광 관련 기업(한화큐셀, 스코트라 등)들이 ‘합천군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합천댐에 설치된 수상태양광은 재생(태양)에너지와 해양기술(조선+계류)이 결합된 융복합 발전시설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물 위에 설치한 것이다. 발전시설을 물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산림훼손이 없고, 수면의 냉각효과로 육상태양광보다 발전효율이 약 5% 정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지만 송전비 등 발전단가가 높은 관계로 한전 전기료 인상 요인이 될 뿐 아니라  수질과 경관 훼손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합천댐 수상태양광은 2012년에 설치된 이후로 지금까지 10년 넘게 환경안전성을 평가받은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등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하는데 이것을 믿을 수 없다는 주민이 많다. 댐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은 한정적인 국내 재생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주민참여제도를 활용하여 발전수익을 지역주민들과 공유하며 점차 설치지역이 확대되고 있는데 경관과 수질 훼손을 막기 위해 사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환경부는 앞으로 2030년까지 댐 수면 15곳에 0.5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발전사업 규모를 1.1GW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주민들에게 발전수익도 챙겨 주어야 하면서 에너지 저장도 어렵고 송전비도 많이 드는 태양광 발전 사업 확대를 제고하였으면 한다. 원전보다 4배 비싼 태양광 발전 증설은 한전을 더욱 적자 경영으로 내몰고 있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