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생태변화, 어떤 과제들이 있는가
장기 생태변화, 어떤 과제들이 있는가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2.06.24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 24일 오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관(서울 성북구 소재)에서 열리는 ‘2022년 응용생태공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기후변화 장기생태연구 결과 공유 및 발전 방안’을 주제로 연구 과제 결과를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장기생태연구는 기후변화 요인 등 단기 관찰로는 포착이 어려운 생태계 변화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를 말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1980년대 이전부터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장기생태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환경부도 2004년부터 점봉산 등지에서 장기생태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재석 건국대 교수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점봉산 원시림 생태계의 탄소순환 분석 결과를 발표한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시림이 탄소저장소의 기능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수령이 150~200년에 이르는 점봉산 신갈나무숲은 1ha 당 1.15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일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령이 150년 이상인 노령의 나무도 탄소를 상당량 흡수하기 때문에 원시림을 보존하는 것이 생물다양성의 확보와 탄소중립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해외연구를 보면 숲은 800년이 되어서도 탄소흡수원으로서 기능한다.(과학저널 네이처, ‘08)

▲김범철 강원대 명예교수는 1980년부터 40여 년간 소양호 생태계 장기변화 조사 연구결과인 소양호 남조류 출현의 주된 결정인자가 과거 인위적 요소에서 최근 기상요건으로 변화했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1990년대까지는 호수내 가두리양식에 따른 인 배출량 증가가 남조류 출현의 주된 원인이었다면, 양식장이 철거된 1999년 이후에는 강우량이 많은 해에 빗물로 인해 유역 농경지에서 유출된 인 부하량의 증가가 남조류 출현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했다. 양식장 설치 전 1986년 소양호 총인(TP) 농도는 0.01mg/L 미만이었다. 양식장 설치 후인 1990~1998년 총인 농도는 0.01~0.02mg/L 로 증가했다. 양식장 철거 후인 1999년 이후  0.01mg/L 유지이 유지되었다가 대홍수 2006년을 지나면서 소양호 총인 농도는 0.07mg/L 로 다시 폭증했다.

박정수 국립생태원 연구원과 이점숙 군산대 교수는 함평만에서 2004년부터 17년간 수행한 관측(모니터링) 분석결과를 소개하였다. 함평만 일대의 3월 평균기온이 약 1.7℃ 상승하면 염생식물인 갯길경의 발아시기가 약 2개월이나 빨라진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기상자료 분석 결과 3월 평균 기온이 6.5℃에서 8.2℃로 상승하였고, 갯길경 어린식물 최대 출현 시기가 6월(2008년 최초측정)에서 4월(2021년)로 변화한 것이 그 사례다. 

 

갯길경출처: 국립생물자원관
갯길경출처: 국립생물자원관

 

장기생태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 단위로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하고 예측하기 위한 전국 관측망 확충 청사진도 아울러 제시되었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