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벌, 벌에 대한 두려움만 없으면 가능하다
반려벌, 벌에 대한 두려움만 없으면 가능하다
  • 김승윤
  • 승인 2022.01.09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양벌과 토종벌 차이 2

                                                             서양꿀벌과 토종벌(재래꿀벌) 2

                                                                     

 

 

 

 

 

 

토종벌 방어기술 뛰어나

10여년전 낭충봉아부패병이 유행하여 우리나라 토종벌이 거의(90퍼센트 이상) 전멸했다. 그 후 병충해에 강한 품종개량 등 정부의 노력과 우리 것에 대한 관심 증가로 사육군수가 늘고 있다고 한다. 토종벌은 낭충봉아부패병에 약하고 서양꿀벌은 부저병에 약하다. 토종벌은 추위에 강하고 또한 말벌이 공격해 올 때 수백 마리가 봉구를 만들어 말벌을 쪄 죽이는 방어기술이 있는데, 서양꿀벌은 말벌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한다. 최근 한국의 장수말벌이 미국에 들어가 미국 양봉가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장수말벌이 토종벌의 원수를 갚는 것인가. 토종벌은 봄부터 다양한 밀원에서 꿀을 조금씩 모아오는데, 가을에 딱 한번 꿀을 딸 수 있다. 서양꿀벌은 밀원만 있으면 이동을 해가면서 여러 번 꿀을 딸 수 있다. 토종벌 키우는 사람들은 토종꿀의 희귀성을 강조하며 양봉꿀을 폄하하고, 서양꿀벌 양봉가들은 다양한 밀원에서 나오는 갖가지 꿀맛과 풍성한 물량을 자랑한다.

서양꿀벌의 근대식 양봉법은 미국의 랑(랭)스트로스 목사가 1852년 이동식 소비(벌집틀)를 기본으로 하는 벌통을 발명하면서 혁명적으로 변화하였다. 그 전까지는 양봉법이 토종벌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서양꿀벌도 나무통이나 볏짚 바구니, 진흙 벌통에 길렀고 꿀을 딸 때는 벌집을 파괴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잔인하게 벌들을 다 죽이기도 했다. 랑스트로스 이름을 따서 ‘랑식 벌통’이라 부르는 이 근대식 벌통은 벌통을 열어 벌 상태를 관찰하며 질병 등에 대처할 수 있고 꿀이 찬 소비를 꺼내어 꿀을 따고 다시 재활용 한다. 우리나라의 토종벌 벌통도 통나무 벌통, 됫박 벌통에서 서양식 벌통으로 개량화 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재래식 벌통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서양식 벌통에 기르면 꿀맛도 양봉꿀과 별로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사실인지는 모르겠다.

 

풍속화에 나타난 양봉 모습
풍속화에 나타난 양봉 모습
토종벌을 사육하는 나무벌통
토종벌을 사육하는 나무벌통

 

 

벌을 키우는 지혜, 먹이가 부족하면 싸워

서양꿀벌과 토종벌을 가까운 곳에 두면 서양꿀벌이 토종벌의 벌통에 침입해 꿀을 빼앗아 가는 일이 벌어진다. 이때 싸움이 벌어지면 대개 서양벌에게 진다. 그래서 토종벌을 키우는 사람들은 양봉벌이 없는 깊은 산속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양봉벌을 키우는 사람들이 같은 봉장에서 토종벌을 실험적으로 기르는 동영상이 유튜브에 자주 올라온다. 자리를 조금 띄워놓으면 그렇게 심하게 다투지는 않는 것 같다. 두 벌은 종이 달라서 서로 교배도 되지 않는다. 또한 꿀을 따오는 꽃에 대한 선호도 다르기 때문에 식량이 부족한 무밀기가 아니라면 싸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무밀기라도 양봉가들이 대체식량을 공급하면 그 문제도 해결될 것이다.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난장이 호빗처럼 공존할 수 있고 프로도처럼 이야기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상상해 본다.

벌을 키운다고 하면 일단 벌쏘임에 대한 우려가 먼저라서 사람들은 대개 벌을 싫어한다. 그러나 벌의 생태를 알아가면서 그들을 돌보는 일은 반려견을 키우는 것 못지않은 기쁨을 선사할 것이다. 달콤한 꿀도 나누어 먹고 밀랍 양초도 만들 수 있으니 더 좋다. 조선시대 화가 김득신의 사계풍속도를 보면 농가의 한편에 토종벌 벌통들이 놓여 있는데, 벌들도 한 가족으로 공존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차원에서 보면 많은 꿀을 주는 서양꿀벌보다 숫자도 적고, 벌통도 작으면서 희귀 꿀을 선사하는 토종벌을 애호할 만한 이유가 생기는 것이다. 나도 그동안 서양꿀벌만 키웠지만 때가 되면 토종벌에도 한번 도전해 볼까 한다.

꽃과 나비처럼 꽃과 벌은 예로부터 동양화의 주 소재였다.  아름다운 정원과 반려벌, 환상 그 자체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