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학교, 기후환경교육으로 학교 교육 대전환
탄소중립학교, 기후환경교육으로 학교 교육 대전환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1.12.07 0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아교육부터 초ㆍ중ㆍ고교 학생들이 손수건을 가지고 다닌다면 휴지사용과 휴지속의 화학물질 노출도 줄일 수 있다.  손수건이 필수였던 과거 시절엔 비염 환자가 적었다.

대기오염과 각종 생활상의 화학물질 노출이 성장기 아동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탄소중립 학교가 폐기물과 에너지 차원의 접근을 벗어나 휴대폰 전자파 위해와 화학물질 노출 등 학생들의 보건ㆍ건강적 측면도 고려되었으면 한다. 

 

교육부, 농식품부, 환경부, 해수부, 산림청, 기상청과 17개 시도교육청은 탄소중립 주간(12.6.~12.10.)을 계기로 ‘기후위기 극복 및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학교 기후·환경교육 지원 방안’을 12월 7일 발표하였다. 지구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 등 세계 130여개국에서 탄소중립 선언(‘21.6. 기준)후 일상 속 기후행동 약속과 실천을 위해 교육부-환경부-시도교육청이 2021 환경공동선언을 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학교교육을 대전환을 한다.

 

기후·환경교육 관련 학생·청소년 참여 사례
기후·환경교육 관련 학생·청소년 참여 사례

 

관계부처가 선정하는 탄소중립 중점학교 수는 20‘21년 5개교,  2022년 20개교, 2023년 40개교로 늘어날 전망이다. 교육청 선정 탄소중립 시범학교는 2021년 102개교,  2022년 238개교, 2023년 340개교로 확대할 예정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태전환교육을 반영하고, 환경동아리, 독서·봉사활동 등 기후대응 역량에 도움이 되는 참여와 체험 중심의의 교육활동을 지원한다. 기후위기로 인해 교육 취약성을 극복하고 적응역량을 기르기 위한 유아·장애학생에게 맞춤형 학습지원을 확대하고, 직업·진로교육 및 학생참여활동을 지원한다.

프로그램으로 무분별한 쓰레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플라스틱과 해양 쓰레기, 찾아가는 탄소중립 교실,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교육 자료(영상 수어 등) 개발, 기후변화에 따른 일자리 변화 교육, 기후·환경·산림 등 현장 체험교실, 탄소중립 정책마켓(공전전환 등), 기후위기 극복 방안 프로젝트 수업 등이 있다. 

 

학생 맞춤형 학교환경교육 방향

유·초등학교의 탄소중립 교과활동은 학교텃밭, 학교숲 가꾸기 등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이 중심이다. 중·고등학교는 자유학년제·고교학점제 등과 연계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수업을 제공한다. 

또한 교원양성대학에 탄소중립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유도하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지원, 온·오프라인 연수 확대 등을 통해 예비교원과 교원의 환경 감수성과 전문성을 강화한다.  2021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편성·운영 시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탄소중립, 플라스틱 문제 등 환경교육 관련 내용의 반영을 권고하고 있다.

 

탄소중심 학습의 장(場)으로서 학교환경 조성

관계부처 및 시도교육청 협력을 통해 탄소중립 중점·시범학교 및 환경교육체험관인 에코스쿨 조성을 확대하고, 신재생 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그린학교 등을 통해, 학교가 탄소중립 학습의 장으로서 지역의 거점 역할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탄소중립학교 학생들은 학교텃밭·숲교육 등 자연을 직접 체감하고, 탄소 배출 모니터링을 통해 감축활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지역사회와 연계한 환경교육 협력모델 개발·보급 등 생활 속 실천중심 교육을 확대한다. 서울ㆍ전남 교육청이 협업하여 서울 초·중학생이 전남 초·중학교에 유학, 생태 체험활동을 6개월에서 1년까지 할 수 있다. 학교-지역사회 간 협력을 통한 지역 생태관광, 생태지식, 환경현안 해결 등 지역협력사업도 한다. 

학교내 탄소량 감축 활동안에는 학교내 감축목표 수립, 미래세대 교육 및 활동, 환경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학교별 온실가스 감축수단 파악 및 감축계획 수립으로 목표치를 설정하고 학생 등 구성원이 참여히여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실시힌다. 감축활동에는 에너지, 용지절감, 통학·통근, 음식물 쓰레기, 물절약 등이 있다. 이밖에도 건물 옥상 녹화, 그린 리모델링(단열), 태양광 발전, 지열 공급, 친환경 차량 운영 등도 해당된다. 

탄소중립 사회 전환을 위한 실천문화 활동을 통해 미래세대 및 관계기관 정책대화, 협력을 통한 환경 감수성 함양 활동 등 소통과 참여를 통한 기후·환경위기 인식을 제고한다. 탄소중립 릴레이 선언, 기후위기 대응 실천 운동 등 홍보 및 캠페인 확대가 중심이 된다. 

기후·환경교육 관련 학생·청소년 참여를 위해 교육기관 탄소중립 실천방안을 논의하고 국내외 청소년 목소리 페스타를 실행한다. 교육과정심의회 학생 참여위원회는 민·관·국제 협력을 통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교육 강화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대응에 필요한 공동과제를 발굴·추진한다.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이니셔티브, 교육과정 개정 방향, 기후·환경교육 체계 등 학교 기후·환경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환경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의 법적 기반 마련

지난 9월 교육기본법 개정과 탄소중립기본법 제정에 따라 기후위기 대응 교육 대전환을 위한 법적 근거가 갖추어졌다. 

「교육기본법」 제22조의2(기후변화환경교육)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이 기후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생태전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ㆍ실시하여야 한다(개정 ‘21.9.24. 공포·시행)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제67조(녹색생활 운동 지원 및 교육ㆍ홍보) ⑤ 정부는 녹색생활 실천이 모든 세대에 걸쳐 확대될 수 있도록 교과용 도서를 포함한 교재 개발 및 교원 연수 등 학교교육을 강화하고, (이하 생략. 제정 ‘21.9.24. 공포, ’22.3.25.시행)

시도교육청과 함께 조례 등 자치법규 정비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위한 환경교육 지원체계를 확대한다. 학교환경교육을 지원할 전담기관과 플랫폼(종합포털)을 운영하고, 중앙-지방 정책협의회 상시 개최 등 지원 조직체계를 강화한다. 교육부, 환경부, 탄소중립위원회,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국가환경교육센터 등은 관계기관 협의를 수시로 개최한다. 

 

자치법규

 

바로 지금, 나부터 실천하는 탄소중립은 올바른 기후‧환경 교육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전제하에 인간·자연·사회의 공생을 추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여러 과제들을 학교·가정·지역이 연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교육부와  환경부는 미래세대가 기후·환경위기 문제에 적극 공감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환경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