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그린뉴딜, 먹는물 고도정수처리보다 취수원 이전 대책 내놓아야
환경부 그린뉴딜, 먹는물 고도정수처리보다 취수원 이전 대책 내놓아야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0.09.16 11: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기후변화‧환경위기에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 체계를 조성한다. 이 과제는 지난 7월 14일 그린뉴딜 계획중 도시‧공간‧생활 기반시설에 포함되어 있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가뭄, 물관리 기반시설 노후화 등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고 국민에게 안전한 물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① 물관리 기반시설(인프라) 스마트화, ② 기후위기 대응 강화, ③ 먹는물 관리 강화, ④수량‧수질 통합관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위 백만원
 

 

         

 

               

 

 

 

 물관리 기반시설 스마트화

환경부는 홍수 방어, 안정적 수자원 확보와 용수 공급, 수질개선 등을 위해 노후화가 계속되고 있는 댐, 상‧하수도 등의 물관리 기반시설에 스마트 관리체계를 도입한다. 다목적 댐 등 37개 댐의 성능개선과 위기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감시, 무인기 기반 안전점검, 빅데이터‧인공지능 분석을 활용한 안전관리 체계구축 등을 포함한 스마트 댐 안전관리 사업을 추진한다.  스마트 댐 안전관리는 `20년 추경 13억원에서 ‘21년 신규 150억원이 책정되어 있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해 정보통신(ICT)‧인공지능(AI) 기반 실시간 감시‧제어 체계를 48개 광역상수도 189억, 161개 지자체 지방상수도 4,264억 전 시설에 2023년까지 도입한다. 2024년까지 13개 스마트 하수처리장 204억, 스마트 하수관로 등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하수관리 체계도 마련한다.

 

취약지역 기후 위기 대응 강화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강수량 편차 증대 등에 따른 홍수, 가뭄 심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한다. 2023년까지 홍수에 취약한 100개 지류하천에 수위‧강수량 등 홍수정보 수집센서를 확충하고,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시스템 구축 198억원으로  홍수예보를 시‧공간적으로 확대한다. 섬 지역 등 급수취약지역에는 상수도 확충사업, 해수담수화(대산 공업용수도) 등으로 가뭄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한다.

 

수량‧수질 통합관리

지역 여건에 따라 깨끗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댐부터 하천까지 수량‧수질 통합관리시스템과 생태수로를 조성한다.  주요 상수원인 21개 댐의 통합물관리 강화를 위하여 2025년까지 70개 지점에 42억원으로수량‧수질 실시간 통합감시체계를 구축한다.

 2021년에 오염지류 21개를 대상으로 유역진단을 실시하여 오염원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식생 토양의 자정작용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자연정화하는 생태수로 6곳을 2024년까지 조성한다. 오염지류 유역진단 및 개선에 2021년 신규 128억원이 계상되었다.

먹는물 관리 강화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물 공급을 위해 먹는물 관리 체계를 강화한다.

지난 7월 인천지역에서 발생한 수돗물 유충 사태와 같은 사고예방을 위하여 60개 지자체 100개 정수장을 대상으로 2022년까지 생물체 유입‧유출 5중 차단 등 정수장 위생관리 262억 원 확보했다. 지방상수도 노후시설 개량사업(133개)은 국비를 조기에 투입하여 종료시점을 2028년에서 2024년으로 단축하고, 12개 광역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하는 등 한층 깨끗한 수돗물 공급에 주력한다. 낙동강유역 먹는물은 고도정수처리시설 대신 상류댐으로 취수원을 이전하는 일이 최선이다. 환경부의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물재난을 막고 물 관리 분야에서도 그린뉴딜의 이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하였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