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단위 정수시설, 부산은 어디
마을단위 정수시설, 부산은 어디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0.03.17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3월 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서쪽의 반텐주에 위치한 다아르 엘 쿨람(Daar el–Qolam, DQ) 이슬람 기숙학교에 마을단위의 최신 정수처리 기술을 적용한 ‘건물형(직결형) 정수처리시설’을 완공하고, 이 기술을 국제사회의 물문제 해법의 본보기로 제시할 계획이다. ‘건물형 정수처리시설’이 완공됨에 따라 이 학교 학생들은 이제 개인별 생수병을 사 먹지 않게 되었다.  총 기숙 인원 6,500명이 마실 수 있는 하루 500㎥의 깨끗한 물이 음수대에서 제공된다.

 

환경부
환경부

 

 

저류조 불필요

 ‘건물형 정수처리시설’은 미세입자 제거를 위한 막여과, 오존을 활용한 산화 처리, 활성탄 흡착 등의 정수과정을 일렬로 배치한 후 물을 압력으로 한꺼번에 통과시켜 처리하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었다. 이것은 물을 담아두기 위한 저류조나 수로 등이 필요하지 않아 기존 정수장 대비 절반의 면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마을단위 정수장이 상수도 기반시설 위주의 물공급이라는 기존 체계의 전환을 비롯해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물산업 해외진출에 기여하고, 나아가 유엔의 지속가능목표(물과 위생 안전) 달성을 위한 효과적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수도관 노후화 걱정 없어

이와 같은 형태의 소규모 정수처리설비는 미래도시와 개발도상국의 물문제 해결에 모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기존처럼 도시외곽의 대규모 정수장에서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도시인근에서 취수한 물을 정수 후 바로 공급할 수 있어 상수도관 노후화로 인한 수돗물 불신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대규모 상수도 기반시설 없이도 외곽에 따로 떨어진 마을이나 독립된 시설 단위에도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개도국의 물공급 문제에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 마을단위 정수처리 시설 설치 사례. 환경부
동남아시아 마을단위 정수처리 시설 설치 사례. 환경부

 

아프리카 마을단위 정수처리 시설 설치 사례. 환경부
아프리카 마을단위 정수처리 시설 설치 사례. 환경부

 

 

소규모정수처리시설 우리 부산은 어디에?

환경부는 그간 이번에 조성한 ‘건물형 정수처리시설’을 포함하여, 한 마을 단위에 깨끗한 물을 공급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 정수처리시설을 개발하고, 개발도상국 등을 대상으로 설치 사업을 실시해왔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을 포함한 국내 물산업 분야 기업이 생산한 부품과 기술을 집약하여, 한국 물산업의 해외진출을 견인할 대표 사업으로 육성한다.

 

정수처리 공정간 저류조가 없는 직결형 수처리 기술

다수의 처리공정이 조합되어 있는 정수처리 시설 구축시 수처리 공정과 공정 사이에 저류공간(저류조) 없이(Tankless system) 직결(Direct-Coupled)로 연결하고 최초 공정인 막여과 공정의 펌프압력을 활용하여 전체 수처리 공정을 운전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모듈화 설계 기술

공장 사전제작 및 현장 조립설치가 가능한 Precast and in situ installation 기반의 플랜트 형 용수공급 설계기술로서 공정 내 설비의 모듈화와 단위공정의 모듈화 조합 기술을 적용한다.

 

적용 기술 개요 및 특징. 환경부
적용 기술 개요 및 특징.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시설의 실증 데이터와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단지인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에 직결형 정수처리 기술을 적용한 빌딩형 ‘스마트 정수장’을 2021년 내로 구축하고 해외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